...
728x90
반응형
Javascript에는 많은 연산자가 있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산술 연산자
연산의 기본이 되는 산술 연산자.
응용해서 여러 곳에서 쓰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어야 합니다.
산술 연산자 종류 | 속성설명 |
+ | 더하기 연산을 할 때 사용 |
문자와 문자, 문자와 변수 등을 연결할 때 사용 | |
- | 빼기 연산을 할 때 사용 |
* | 곱하기 연산을 할 때 사용 |
/ | 몫을 구 할 때 사용 |
% | 나머지를 구할 때 사용 |
++ | 1씩 증가시킬 때 사용 |
-- | 1씩 감소시킬 때 사용 |
대입 연산자
대입 연산자 "="는 "같다"의 의미가 아니라 변수에 대입(저장)을 의미합니다.
대입 연산자 종류 | 설명 |
= | x = 1은 우변의 1값을 좌변의 x 변수에 대입(저장) 합니다. |
+= | x =+2 는 x = x + 2 와 같습니다. |
-= | x -=2 는 x = x - 2 와 같습니다. |
*= | x *=2 는 x = x * 2 와 같습니다. |
/= | x /=2 는 x = x / 2 와 같습니다. |
%= | x %=2 는 x = x % 2 와 같습니다. |
비교 연산자
비교 연산자는 값을 비교하여 결과 값을 Boolean(논리) 값인 'true'나 'false'로 반환합니다.
비교 연산자 종류 | 설명 |
> | x > y 가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가 됩니다. (초과를 의미) |
< | x < y 가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가 됩니다. (미만을 의미) |
>= | x >= y 가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가 됩니다. (이상을 의미) |
<= | x <= y 가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가 됩니다. (이하를 의미) |
== | x == y, x 와 y 가 같으면 true, 같지 않으면 false가 됩니다. == 연산자는 데이터 타입은 비교하지 않습니다. |
!= | x != y, x 와 y 가 같지 않으면 true, 같으면 false가 됩니다. |
=== | x === y, x와 y 가 같고 데이터 타입도 같으면 true, 같지않으면 false가 됩니다. |
!== | x !== y, x와 y 가 같지 않거나 데이터 타입이 같지 않으면 true, 같으면 false가 됩니다. |
논리 연산자
논리 연산자 종류 | 설명 |
&& (AND 연산자) | x && y, x 와 y 모두 true 일 때 true가 됩니다. (모두 충족) |
l l (OR 연산자) | x l l x, x 와 y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가 됩니다. (어느 하나라도 충족) |
! (NOT 연산자) | ! x , x가 true면 false, false면 true로 바꾸어 줍니다. (반대개념) |
예를들어 x 가 10 이상 20 이하를 javascript에서는
x >= 10 && x >= 20 이라고 표현해야 합니다.
삼항 연산자
삼항 연산자는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결과 값을 다르게 나오게 해주는 연산자입니다.
true와 false 값에 따라 실행이 달라집니다.
조건식 ? 실행문1 : 실행문2 |

사진을 보면 x는 조건식이 true가 나오게 되어 양수가, y는 조건식이 false가 나오게 되어 음수의 결과 값을 가집니다.
이상으로 javascript의 연산자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!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