...
728x90
반응형
프로그래머스 문제풀기 12일차.
1. 영어에선 a, e, i, o, u 다섯 가지 알파벳을 모음으로 분류합니다.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음을 제거한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function solution(str){
let answer = str.split('a').join('');
answer = answer.split('e').join('');
answer = answer.split('i').join('');
answer = answer.split('o').join('');
answer = answer.split('u').join('');
return answer;
};
2.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my_string 안에 있는 숫자만 골라 오름차순 정렬한 리스트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보세요.
function solution(my_string) {
let answer = my_string.match(/[0-9]/g);
answer = answer.map(num => {
return parseInt(num);
});
answer.sort(function(a, b){
return a - b;
});
return answer;
}
3.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my_string안의 모든 자연수들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function solution(my_string) {
let answer = 0;
let number = my_string.match(/[0-9]/g);
number.forEach(e => {
answer += parseInt(e)
});
return answer;
}
4. 소인수분해란 어떤 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12를 소인수 분해하면 2 * 2 * 3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12의 소인수는 2와 3입니다.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의 소인수를 오름차순으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function solution(n) {
let answer = [];
for(let i=2; i<=n; i++){
while(n % i === 0){
answer.push(i)
n /= i;
}
}
return [...new Set(answer)];
}
문제풀이 Tip
- while 대신 if문을 사용했었는데 if문에서는 n이 i로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한번만 실행되기 때문에 while을 사용해 n이 i로 나누어 떨어지고 남은 몫을 더 나누어 더 이상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때 까지 실행해야 합니다.
- 나온 소인수들의 결과를 answer에 push할 경우 중복된 숫자도 배열에 저장되기 때문에 new Set을 만들어 answer의 요소들을 저장해야합니다.
728x90
반응형